logo
한국어 Select Language
FF 포럼
포럼지기에게 한 마디
공지사항
뉴스 EZ보드 통합 메뉴얼
FA-VUS 개발환경 !강추! 타켓보드 부팅-HyperTerminal 타켓보드 부팅-Tutty 타켓보드 부팅-minicom Windows환경-타겟 Linux 구동 Linux환경-타겟 Linux 구동 개발 시스템 구축 유형 페도라 설치 CentOS 설치 크로스 컴파일러 설치 TFTP 환경 구축 NFS 파일 시스템 구축 삼바 서버 구축 부트로더 부트로더 쓰기 커널 이미지 제작 및 설치 램디스크 이미지 제작 및 설치
임베디드 제품 사용기 오늘의 영어 휴게실 Appliance
강좌 & 팁
강좌 & 팁 EZ-보드 그래픽 &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디바이스 드라이버 ImJa 솔루션 임베디드 FLEX 안드로이드 iOS 개발 FAIDE 하드웨어 C/C++ go언어 GNU C 레퍼런스 메뉴얼 ARM 루아 응용 프로젝트 이클립스 지그비 개발자 노트 권장도서 FPGA
VIVADO DSP HSIO Logic Zynq
함수설명
C 라이브러리 함수 커널 API 그래픽 라이브러리 - gxLib
자료실
자료실 FALINUX SDK ARM PC-V210 S3C6410
G100-S3C6410 S100-S3C6410 C221-S3C6410 N200-S3C6410 EZ-S3C6410
S5PV210
G100-S5PV210 S100-S5PV210 N200-S5PV210 C221-S5PV210
EZ-S3C2440 EZ-PXA270 EZ-X5 EZ-S2410 Auto Package
도와주세요
FAQ 도와주세요
coLinux를 위한 링크 coLinux는 VMware나 Virtual PC 처럼 MS 윈도우에 다른 OS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프로그램으로, 이름을 보시면 아시겠습니다만 리눅스 전용 가상 머쉰 프로그램이 되겠습니다. 다른 가상 머쉰 프로그램과는 달리, 리눅스만 가능하지만 매우 가볍다는 장점을 가자고 있습니다. 비슷하게는 Cygwin이라는 프로그램이 있지만 Cygwin과는 달리 젠투, 우분투, 페도라와 같이 기존 리눅스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차이입니다.
  • coLinux 소개 및 설치 방법
    coLinux에 대한 소개와 설치 파일을 내려 받는 방법과 설치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 브리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구성
    coLinux에서 WinPcap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봅니다.
  • 텔넷 연결 방법
    coLinux에 사용자를 등록하고 MS 윈도우나 다른 PC에서 텔넷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 윈도우 서비스에 등록하여 사용
    coLinux를 실행하는 방법에는 콘솔윈도우를 이용하여 방법도 있지만 MS 윈도우의 서비스처럼 백그라운드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번 내용은 coLinux를 백그라운드로 실행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로컬 하드디스크를 마운트하여 사용
    MS 윈도우의 특정 디렉토리를 coLinux에서 마운트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TFTP 서버 설치 및 사용
    TFTP 서버를 설치하고 타겟보드에서 coLinux에 있는 파일을 내려 받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 NFS 서버 설치 및 사용
    coLinux에서 NFS로 특정 디렉토리를 공유하는 방법을 알아 봅니다.
  • gcc 컴파일러 설치
    I386을 위한 gcc 컴파일러를 설치합니다.
  • 크로스 컴파일러 설치
    ARM이나 MIPS 칩을 위한 크로스 컴파일러를 설치합니다.
  • 삼바 서버 설치
    삼바 서버를 설치하여 MS 윈도우나 다른 OS에 디렉토리를 공유하는 방법을 알아 봅니다.
  • 하드디스크 추가하는 방법
    이미지 파일을 coLinux에 하드디스크처럼 추가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 라눅스 이미지 파일 키우기
    coLinux에서 제공하는 젠투, 페도라, 데비안의 이미지를 원하는 크기만큼 늘리는 방법을 (주)FALINUX의 유영창 이사님께서 정리하여 올려 주셨습니다.
  • X 윈도우 설치하는 방법
    coLinux에 XFCE4, GNOME, KDE 메니저를 이용하면서 X 윈도우를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봅니다.
  • 시리얼 포트 사용법
    coLinux는 기존 리눅스와 같이 /dev/ttyS0 같은 장치 이름으로 시리얼 포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 coLinux 설치 2010년 최종본
    coLinux를 몇 차례에 걸쳐서 설치부터 개발환경 구축까지 설명을 올렸습니다만, 자세하게 설명한다는 글이 너무 장황해서 어려움이 있을 것 같아서 설치부터 개발환경 구축까지만, 장황한 설명보다는 짧은 글로 정리하여 올립니다.

 

 

  • 회원 가입
  •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FALiNUX 통합 RSS
주제별 링크
  • 처음 입문하시는 분을 위한 링크 모음
  • 임베디드 제품 사용기
  • coLinux 강좌 페이지
  • 이영민님의 EZ-JATG USB 강좌 모음
  • 유영창님의 커널 포팅 강좌 모음
  • 최근 글 모음(QA 제외)
관련 링크
 
부탁드립니다. ^^
  • 글을 작성하시려면 회원으로 가입하시고 로그인 하셔야 합니다.
  • 회원 가입은 주민등록번호가 필요 없으며, 메일 주소만 있으면 간단하게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 본 포럼에 등록된 모든 글의 저작권은 작성하신 분께 있으며, 저작자의 허락 없이 다른 곳에 펌이나 도용하시면 안 됩니다.
  • 또한,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이메일 주소 및 자료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 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FF 포럼
  • 강좌 & 팁
  • 함수설명
  • 자료실
  • 도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