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글 수 321
2012.02.13 10:01:30 (*.52.177.65)
57212
Termination을 하는 목적
ㆍBackplanes 종단으로부터의 reflection을 줄인다.
ㆍOpen-collector driver에 high state pull-up 저항 역할을 한다.
ㆍThree-state devices가 disable 되었을 때 신호 라인을 high state로 유지시킨다.
ㆍ신호라인의 positive transi-tion 시간을 빨리 한다.
VMEbus 신호들을 전기적인 성격과 termination 여부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Driver요약
VMEbus 보드 개발
VMEbus 보드를 개발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다.
우선 TTL을 써서 구현하는 방법(VMEbus Handbook에 자세히 나와 있다.)이고, GAL이나 기타 PLD를 사용하여 로직 방정식을 써서 구현하는 방법, 상품화되어 나와 있는 VMEbus 컨트롤러를 쓰는 방법이 있다.
우선 고려할 사항은 설계하려고 하는 보드를 슬레이브 전용의 보드로 할 것인가, 마스터 전용의 보드로 하 것인가 혹은 마스터/슬레이브 전용의 보드로 할것인가를 정해야 한다. 즉, 구현하려고 하는 보드를 기능적으로 규정하고, 그에 맞는 설계 방법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TTL을 사용하여 구현하는 방법
비교적 간단한 VMEbus 슬레이브 보드를 개발할 때 유리하다.
PLD를 사용하여 구현하는 방법
PLD(Gal, FPGA, EPLD, PLSI 등)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하는 로직만을 구현한다. VMEbus의 여러 가지 기능 중에서 필요한 기능만을 구현할 수 있어서 최적의 설계가 가능하다. VMEbus 슬레이브 전용의 보드라든지 마스터 전용의 보드를 구현할 때는 VMEbus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것보다 로직 구현이 오히려 간단할 수 도 있다. 차후에 기능을 더 추가할 경우에는 즉각적인 대응이 곤란할 수도 있다.
VIC068A)를 사용하는 방법
VMEbus의 모든 기능이 컨트롤러 내부에 존재하므로 사용자는 칩 인터페이스만 해주면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사용하지 않는 기능을 나중에 쓸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컨트롤러의 가격이 비싸다. 표 7에 VMEbus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를 나타내었다.
VMEbus 보드의 설계시 전제 조건
우선적으로 전제되어야 할 조건은 개발하려고 하는 보드에 MPU(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가 있는가 없는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 로컬 MPU가 있는 경우에는 마스터 기능과 슬레이브 기능을 둘 다 지원하도록 설계하나 슬레이브 기능만 또는 마스터 기능만을 하도록 설계하기도 한다.
이것은 개발하려고 하는 보드가 시스템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진다.
하드웨어적으로는 가능하면 마스터/슬레이브 기능을 둘 다 구현해 두면 좋지만 슬레이브 기능만의 설계는 비교적 쉽게 할 수 있다.
로컬 MPU가 없는 경우(DRAM 메모리 보드 등)는 슬레이브 보드로만이 구현된다. 로컬 MPU가 있는 경우에 VMEbus 슬레이브 보드를 구현할 때 주의할 점은 VMEbus의 어느 마스터가 타킷 보드의 리소스를 액세스할 대 로컬 MPU의 동작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즉, local aribtration 이 필요한지를 확인한다.
출처:http://blog.naver.com/elechole?Redirect=Log&logNo=20035763438
ㆍBackplanes 종단으로부터의 reflection을 줄인다.
ㆍOpen-collector driver에 high state pull-up 저항 역할을 한다.
ㆍThree-state devices가 disable 되었을 때 신호 라인을 high state로 유지시킨다.
ㆍ신호라인의 positive transi-tion 시간을 빨리 한다.
VMEbus 신호들을 전기적인 성격과 termination 여부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Driver요약
VMEbus 보드 개발
Signal Mnemonic | Signal Name | Driver Type | Bused and Terminated ? |
A01-A31(31 lines) ACFALL* AM0-AM5 (6 lines) AS* BBSY* BCLR* BERR* BG0IN*-BG3IN* BG0OUT*-BG3OUT* (Daisy-chain) BR0*-BR3* (4 lines) D00-D31 (32 lines )DS0*-DS1* (2 lines) DTACK* IACK* IACKIN*/IACKOUT* (Daisy-chain) IRQ1*-IRQ7* ( 7 lines) LWORD* RESERVED SERCLK SERDAT* SYSCLK SYSFAIL* SYSRESET* WRITE* |
Address AC power failure Address modifier Address strobe busy clear error grant daisy-chain request Data Data strobes Data transfer acknowledge Interrupt acknowledge Interrupt acknowledge Daisy-chain Interrupt request Longword Reserved Serial clock Serial 데이타 System clock System failure Sustem resetWrite |
3 STD OC 3 STD 3 HC OC TP HC OC TP STD OC 3 STD 3 HC OC 3 STD or OC TP STD OC 3 STD - TP HC OC TP HC OC OC 3 STD |
Yes Yes Yes Yes Yes Yes Yes No Yes Yes Yes Yes Yes No Yes Yes Yes Yes Yes Yes Yes Yes Yes |
VMEbus 보드를 개발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다.
우선 TTL을 써서 구현하는 방법(VMEbus Handbook에 자세히 나와 있다.)이고, GAL이나 기타 PLD를 사용하여 로직 방정식을 써서 구현하는 방법, 상품화되어 나와 있는 VMEbus 컨트롤러를 쓰는 방법이 있다.
우선 고려할 사항은 설계하려고 하는 보드를 슬레이브 전용의 보드로 할 것인가, 마스터 전용의 보드로 하 것인가 혹은 마스터/슬레이브 전용의 보드로 할것인가를 정해야 한다. 즉, 구현하려고 하는 보드를 기능적으로 규정하고, 그에 맞는 설계 방법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TTL을 사용하여 구현하는 방법
비교적 간단한 VMEbus 슬레이브 보드를 개발할 때 유리하다.
PLD를 사용하여 구현하는 방법
PLD(Gal, FPGA, EPLD, PLSI 등)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하는 로직만을 구현한다. VMEbus의 여러 가지 기능 중에서 필요한 기능만을 구현할 수 있어서 최적의 설계가 가능하다. VMEbus 슬레이브 전용의 보드라든지 마스터 전용의 보드를 구현할 때는 VMEbus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것보다 로직 구현이 오히려 간단할 수 도 있다. 차후에 기능을 더 추가할 경우에는 즉각적인 대응이 곤란할 수도 있다.
VIC068A)를 사용하는 방법
VMEbus의 모든 기능이 컨트롤러 내부에 존재하므로 사용자는 칩 인터페이스만 해주면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사용하지 않는 기능을 나중에 쓸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컨트롤러의 가격이 비싸다. 표 7에 VMEbus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를 나타내었다.
VMEbus 보드의 설계시 전제 조건
우선적으로 전제되어야 할 조건은 개발하려고 하는 보드에 MPU(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가 있는가 없는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 로컬 MPU가 있는 경우에는 마스터 기능과 슬레이브 기능을 둘 다 지원하도록 설계하나 슬레이브 기능만 또는 마스터 기능만을 하도록 설계하기도 한다.
이것은 개발하려고 하는 보드가 시스템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진다.
하드웨어적으로는 가능하면 마스터/슬레이브 기능을 둘 다 구현해 두면 좋지만 슬레이브 기능만의 설계는 비교적 쉽게 할 수 있다.
로컬 MPU가 없는 경우(DRAM 메모리 보드 등)는 슬레이브 보드로만이 구현된다. 로컬 MPU가 있는 경우에 VMEbus 슬레이브 보드를 구현할 때 주의할 점은 VMEbus의 어느 마스터가 타킷 보드의 리소스를 액세스할 대 로컬 MPU의 동작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즉, local aribtration 이 필요한지를 확인한다.
출처:http://blog.naver.com/elechole?Redirect=Log&logNo=20035763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