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저금리 시대 맞아 `금리 쇼핑` 활발 연 1%대의 예금 금리 시대를 맞아 `금리 쇼핑`이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다.

초저금리에 기겁한 고객들은 단 0.1%포인트라도 더 높은 금리를 찾아 눈에 불을 켠 모습이다.

각 은행의 고금리 상품에는 고객들이 몰려들고 있다.

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7월에는 전체 신규 정기예금의 85.9%를 연 3%대 금리 상품이 차지했으나, 올해 4월에는 그 비중이 14%로 급감했다.

대신 연 2%대 금리 상품의 비중이 9.9%에서 84.5%로 급상승, 대세를 이루고 있다.

올해 4월에는 연 1%대 상품마저 1.5%를 차지했다.

기준 금리가 5월에 0.25%포인트 인하된 점을 참작하면 앞으로 그 비중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본격적인 `연 1%대 금리` 시대가 열리는 셈이다.

재테크를 하는 직장인이나 퇴직금으로 노후를 보내야 하는 은퇴자에게는 비상이 걸렸다.

단 0.1%포인트라도 금리가 더 높은 상품으로 몰려들 수밖에 없다.

최근 가장 각광을 받는 상품은 주택청약종합저축이다.

연 3% 상품마저 찾기 힘든 시대에 이 상품은 연 4.0%(2년 이상 예치시)의 고금리를 보장한다.

1년만 넣어두어도 금리가 연 3%다.

4월 한달 동안 이 상품에는 1조원이 넘는 돈이 몰려 잔액이 22조2천억원으로 늘었다.

한달 새 늘어난 계좌 수만 57만개에 달한다.

월 최대 5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지만, 최대 1천500만원을 한꺼번에 넣고서도 적금을 계속 부을 수 있어 직장인 재테크의 최고 인기상품으로 떠올랐다.

다른 은행 상품 중에서는 스마트폰 뱅킹을 이용한 상품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준다.

지점 직원들의 인건비가 필요 없어 은행으로서도 부담이 덜하기 때문이다.

신한은행의 `신한 스마트 적금`은 연 3.3%의 고금리를 보장한다.

거래실적 등 복잡한 우대금리 조건 없이 스마트폰 뱅킹인 `신한S뱅크`를 통해 가입하면 누구나 연 3.3%의 금리를 적용받아 월 최대 100만원을 넣을 수 있다.

지난해 9월 출시해 벌써 24만계좌, 5천억원에 육박하는 판매 실적을 올렸다.

기업은행의 `IBK흔들어적금`은 최고 금리가 연 3.65%(1년제)에 달한다.

1년짜리 상품의 기본금리는 연 2.85%지만, 스마트폰 뱅킹에서 이체일과 월 납입액이 같은 사람끼리 그룹을 만들어 멤버를 늘리면 추가 금리를 준다.

10명 이상이면 0.1%포인트, 20명 이상은 0.3%포인트, 30명 이상은 추가금리가 0.6%포인트에 달한다.

여기에 적금을 3회 이상 부으면 0.2%의 금리를 또 준다.

월 300만원까지 넣을 수 있으며, 지난 3월 출시해 석달 동안 가입계좌 수가 벌써 8만계좌를 넘었다.

국민은행의 `직장인 우대적금`도 높은 금리를 보장하는 대표적인 인기 상품이다.

1년제 연 2.7%, 2년제 연 3.0%, 3년제 연 3.3%로, 급여 이체와 제휴 통신사(KT) 이용 등의 실적이 있으면 최대 0.5%포인트의 추가 금리를 준다.

월 300만까지 부을 수 있지만, 분기마다 500만원까지 추가 적립할 수 있어 `적금+예금` 성격의 상품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2009년 4월 출시돼 지금껏 3조원 넘게 판매됐다.

외환은행에서는 오프라인 상품으로 `넘버엔 월복리적금`이, 온라인 상품으로 `매일클릭적금`이 인기를 끌고 있다.

최고 연 3.6% 금리를 주는 월복리적금은 2010년 7월 출시돼 현재 11만2천계좌, 6천600억원의 판매 실적을 올렸다.

매일클릭적금은 인터넷·스마트폰 전용 상품으로, 우대금리를 포함해 1년에 최고 3.2%, 3년에 연 3.42%의 금리를 보장한다.

우리은행은 올해 초 젊은 층을 주 타깃으로 한 `우리꿈적금`을 내놨다.

이 상품의 기본금리는 1년제 연 2.9%, 2년제 2.95%, 3년제 3.0%다.

하지만, 최고 0.6% 포인트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다.

스마트뱅킹으로 가입하면 0.2%포인트, 가입시 기존에 가입한 친구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면 0.3%포인트, 금리우대 쿠폰을 발급받으면 0.1%포인트의 추가금리를 받을 수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초저금리 시대가 현실화되면서 0.1%포인트의 금리도 놓치지 않으려는 노력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며 "각 은행 상품을 꼼꼼히 따져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골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매일경제 안승섭, 김승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