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정산 관련하여 문서를 준비하고 비용을 정리하다 보면

어색한 용어를 많이 보게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어렵게 느껴지는 용어들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인 자료는 인터넷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회계처리 Guide line"에서 부터

시작해 보겠습니다. (순서에 상관없이 생각나는데로 진행하겠습니다.)


먼저,  "RCMS" 라는 용어를 보시게 될 겁니다.

물론 관련 문서를 보시면 용어정의가 있어서 한번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이 기회에 한번 더 리뷰하시는 것으로 하시죠.


좋은 우리말로 번역하면,  "실시간 통합 연구비 관리 시스템" 이라고 합니다.

이 시스템의 도입 목적은, 투명한 사용자 관리와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인데요,

아시다시피 투명한 만큼 사전행위가 필요하고 항상 금액에 신경써야겠네요.


즉, 정부 출연금이 연차별로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사업비를 사용할 때 

실시간을 지급된다는 것입니다.

사용에 있어서는 수행기관이 직접 계좌이체, 신용 카드등을 이용하여 사업비를 

집행, 정산할 수 있는 통합 정보 시스템을 말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이  RCMS  적용 시 또는 미적용 시 회계처리에서 다른점에 대하여

잠깐 더 알아보겠습니다.

내용 자체가 전문적이어서 비 전문가인 제가 다룰 수 있는 부분이 제한적이지만,

이해가 가능한 범위까지 공부 차원에서 진행해 보겠습니다.

아마도 "공학 경제" 이론 까지 들어갈 수도 있을 텐데요. 

일주일에 한번씩이니 한번 도전해 봐도 괜찮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