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서 없이 질문 드려 볼랍니다..^^
1.

메뉴얼에.. 위 두가지의 방법 셋팅과정이 있는데요...

이 두가지는 램디스크와 커널을 보다 빨리 다운 받기 위함이 맞나요?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면 수정하고 보드에 다운 받아서 테스트 하고..

또 수정하고 다운하고.. 이런 과정의 반복일테니깐..

zmodem은 시간이 넘 마니 걸리니깐....

다운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위 두가지 중 한가지 방법을 택하는겁니까??

저는 그럴꺼란 생각을 하고 다음 질문으로 넘어갑니다...

2.

제품 패키지에 보면 랜케이블이 제공되는데요...

위 두가지 방법을 사용할때 이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나.. 싶습니다...

하나는 보드에 꽂고.. 하나는 pc에 꽂고...

3.

근데 랜 케이블보면 선의 순서 배열이 틀리거든요....

편편한 면을 제 앞으로 하고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색의 순서를 나열하면..

하나는 주-파-녹-고 이고... 다른 하나는 녹-파-주-고

입니다...

어느것을 보드에 꽂아야 한다.. 뭐 이런건 없나.. 하는 의문이 생깁니다...

4.

게시판의 어느 글을 보면.. bootp를 사용하지 말고 고정 ip를 사용하는것이 쉽
다는 말이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가상 아이피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예전에 ftp사이트에도 접속이 안됐던거 같은데...

tftp를 수행하는데 별 문제는 없는지요..

bootp 사용하지 말고 고정 ip를 써라 하심은 ezboot>set 명령에서

HOST IP / LOCAL IP 이부분을 말씀 하시는건지요..

그리고 호스트는 제 PC가 되고 LOCAL은 EZBOARD가 되는것입니까??

bootp를 사용하지 않으려면.. bootps파일의 disable=yes 하면 되는것이지요?

데몬 역시 떠 있을 필요 없는 것이구요...

5.

tft사용하려면..

랜케이블 연결하고...tftp 파일에서 disable = no 하고..

데몬 살아있나 확인하고.. 위의 파일 수정했음 restart하고...

ezboot 실행시켜서.. 아이피 설정 확인하고.. 4번항목 공백으로 두고..

저장하고 빠져 나와서..

ezboot>tfk

이러면.. 수행이 되어야 하는것이 맞나요?/

중간에 빠진 과정은 없는지요...

근데... 잠시 의문이 생깁니다...

4번 공란으로 두면 어느 폴더에서 zimage랑 ramdisk를 가져 오지요??

제 피시의 /tftp/폴더를 만들어두고 그안에 zimage, ramdisk 넣어두고..

chmod 777, nobody nobody로 만들어 두었습니다만은...

bootp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etc/bootptab파일을 ....

거기에 폴더를 설정해 두잖습니까...

6.

글구.. 게시판 곳곳에 ping 테스트 관련글이 있는데요...

저의 경우..

제 피시 아이피가.. 192.168.0.103이고 보드에다가는 192.168.0.108을 주려고
합니다..

핑을 어디에서 어케 날려야 하는 것이며..

결과로 어케 나와야 맞는 것인지요?

보드에는 핑에 응답할 수 잇는 부분이 없다는 글도 읽어갖구...

어케 확인해야.. 연결이 잘 된건지 알 수 있는지요?

보통 윈도우에서는

Reply from xxx.xxx.xxx.xxx : bytes=32 time=18ms TTL=245

이렇게 나오는데요..

저번에 보드에서(ezboot> ping ~~~) 일케 했을때..

위와 같은 메시지는 아니였떤걸로 기억합니다.


한심한 질문들이 아닌지 모르겠꾼요...